티스토리

우보천리
검색하기

블로그 홈

우보천리

gopeak.tistory.com/m

우보72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1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상서장,불곡마애여래좌상,보리사 마애불,미륵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요리조리 한바퀴 돌아봤습니다.  경주 상서장   상서장은 신라 말의 문신이자 대문장가인 고운 최치원이 '시무십조'를 쓴 곳입니다.   상서장 둘러보고 조금 이동해서 불곡마애여래좌상으로 올라갑니다.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보물 제198호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마애불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은 바위 면을 90cm 깊이의 굴 모양으로 파내고 그 안에 새긴 불상이다.이 불상이 있어 계곡을 불골,불곡,부처 골짜기라 부른다. 불곡마애여래좌상은 마애불상의 일반적인 특징과 같이 윗부분을 보다 입체적으로 하고 아래쪽을 그보다 얕게 조각하였다. 불상은 선정인(禪定印: 참선하는 모습의 손 자세) 형태의 수인(手印: 손 자세)을 한 채 가부좌(跏趺坐: 양반 자세로 앉은 모습)를 하고 있다. 불상.. 공감수 2 댓글수 2 2025. 2. 11.
  • 청도 금호서원(琴湖書院),식성군 이운룡 청도 금호서원은 임진왜란 때 옥포해전에서 큰 공을 세운 식성군 이운룡을 제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이운룡은 본관이 재령이며 청도 출신이다.1592년 5월 7일 원균의 경상도 수군과 이순신의 전라도 수군이 합세한 옥포해전에서 그는 선봉장으로서 아군의 전군을 진두지휘하여 용전 분격하였다. 그 결과 적선 50여척을 분소시키는 큰 전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임진왜란 최초의 승전이었다. 이후에도 그는 많은 전공을 세웠고, 1596년에는 이순신의 천거로 경상좌수사에 승진되었다. 1604년에 그는 식성군에 봉해졌고 1605년에는 내직으로 도총부부총관.비변사당상관을 지냈으며 외직으로는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많은 공적을 남겼다. 그리하여 그는 사후에 병조판서에 주증되었으며, 청도의 금호서원과 의령의 기강서원에 재향되었다.  ..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2. 1.
  • 청도 자계서원(紫溪書院),탁영 김일손 청도쪽 한바퀴 돌면서 은행나무로 유명한청도 자계서원 들러보았습니다. 자계서원은 초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탁영 김일손 선생을 제향하고 있는 서원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11일        자계서원(紫溪書院)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탁영 김일손 선생(1464~1498)과 조부이신 절효 김극일 선생, 장조카 삼족당 김대유 선생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이곳은 원래 탁영선생이 공부하던 운계정사였으나 선생이 무오사화때 화를 입고 서거하신 후 중종 13년(1518)에 청도지역의 유생들이 뜻을 모아 사당으로 바꾸고 자계사(紫溪祠)라 하고 탁영 선생을 제향해 왔다. 선생이 무오사화로 서거하실 때 서원 앞 시냇물이 붉은 색으로 바뀐 이변이 있어 자계(紫溪)라 한 것이다.    서원에는 사당인 존덕사(尊..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2. 1.
  •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용명리 삼층석탑 단석산 산행 후 복귀하면서 근처 문화재  2군데 들러봤습니다.먼저 방문한 곳은 지난 벽도산 산행 후 들러보았던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5일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보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은벽도산 자락의 서쪽으로 향한 바위에 새겨져 있는 부처와 보살의 입상이다.  광배 모양을 따라 바위를 파내어 평평하게 만든 면에불상과 보살상을 돋을새김하였다. 중앙에 아미타여래상과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위치하고 있다.    중앙의 아미타여래상은 큰 머리 위에 상투를 튼 것처럼 보이는육계가 솟아 올라 있다. 이 육계가 넓고 낮아서 마치 모자를 쓴 것처럼 보인다.옷은 얇게 표현되어 몸의 굴곡이 드러난다.오른손은 내리고 왼손은 가슴 앞에 둔 채 엄지와 가운뎃손.. 공감수 3 댓글수 2 2025. 1. 22.
  • 군위 인각사,아미산 앵기랑바위,보현산댐 출렁다리 군위 화산산성 풍차전망대에서 시원한 조망 즐기고인각사등 군위쪽으로 한바퀴 쭈욱 이어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4일     군위 인각사(麟角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의 말사(末寺)이다.절 북쪽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속전(俗傳)에 기린의 뿔이 이 바위에 걸렸다고 하여 절 이름을 인각사라 하였다고 한다. 창건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설이 있다.권상로의 『조선사찰전서』에서는 643년(선덕여왕 12)에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하고,1963년 이도원의 『인각사중수기』에서는 642년(선덕여왕 11)에 의상(義相)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과 군위군청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5차에 걸쳐 실시한 발굴조사(發掘調査)에서 거대한 사찰터와 통일신라..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1. 20.
  • 화산산성 풍차전망대 거조사 둘러보고 날씨가 쨍하니 좋아서군위댐 방향으로 조망이 시원한  화산산성 풍차전망대로 올라봅니다.    방문일시: 2024년 1월 4일         올라가면서 잠시 차를 세우고 옥녀봉과 화수삼거리 일대 풍경 담아보고.그리고 뒤쪽으로는 금성산,비봉산이 선명하네요.   좌측으로 조림산.   옥녀봉과 선암산.겨울철만의 근육질 능선 줄기들이 시원시원한 모습.이만한 풍경만 해도 올라온 기름값은 다 뽑은 셈입니다.눈이 시원시원하네요.   풍차전망대로 내려가기전 잠시 차를 세우고 담아본 풍경.미세 없는 날 오시면 요렇게 시원한 모습 즐길 수 있습니다.    풍광 참 좋습니다.   고냉지 밭데기들과 그리고 풍차.그리도 뒤쪽으로 병풍처럼 시원시원한 풍경들.언제 봐도 참 좋네요.    한파가 몰아쳐서 그런지 조용했던.. 공감수 4 댓글수 2 2025. 1. 13.
  • 영천 거조사 영산전 영천 거조사를 시작으로 영천,군위쪽으로 한바퀴 돌아봤습니다.먼저 방문한 곳은  영천시 청통면에 위치한 거조사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4일          영산루      거조사는 신라 효성왕 2년(738) 원참조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다고도 하고 경덕왕때 세워졌다고도 한다.거조사라는 이름은 팔공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여,아미타불이 항상 머문다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사실 이절은 은해사보다 먼저 지어졌지만, 지금은 은해사에 속하는 말사이다.      거조사 영산전(靈山殿)(국보 제 14호)​거조사는 은해사 보다 먼저 지었지만, 근래에 와서 은해사에 속하는 암자가 되어 거조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돌계단을 오르는 비교적 높은 기단 위에 소박하고 간결하게 지은 영산전은 거조암의 중심 건물이다. 고려.. 공감수 3 댓글수 0 2025. 1. 13.
  • 영천 만불사(萬佛寺) 10년만에 영천 만불사 구경.그때도 규모가 상당했는데 더 넓어진 느낌이네요.차를 타고 요리조리 이동하는 분들도 보이고.입구에 주차하고 한번 둘러봤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31일         만불사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면. 영천 만불사는 승려 학성이 기존과는 다른 현대 불교의 서원을 이루고자 1987년 서울, 부산, 대구에 포교원을 설립하며 시작되어, 1995년 완공한 만불산에 있는 사찰이다.창건에 앞서 만불보전 건립, 부처님 진신사리 이운, 노천 아미타입불 봉안 등 많은 불사를 진행하면서 현대 불교의 전파와 함께 문화·의료·복지에 큰 힘을 쏟았다. 무료 만발 공양과 가람 불사 결과, 현재 만불회의 신도 수는 전국 30만에 이르며, 특히 1996년 극락 도량의 부도 묘를 개원하면서 납골 .. 공감수 3 댓글수 0 2025. 1. 8.
  • 영천 영지사(靈芝寺) 2024년 마지막 날...영지사 등 영천쪽으로 한바퀴 돌아봤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31일         영지사 가는 길에 도잠서원,도잠지 그리고  구룡산 담아보고.도잠서원은 지산 조호익 선생을 모시는 서원입니다.    도잠서원 지나 영지사 입구에 도착해서 주차하고 둘러봅니다.  영지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로 신라 태종무열왕(재위 654~6610때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웅정암(熊井庵)이라고 하였고 1592년(선조 25년)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3년(선조 36년) 지조(智照)와 원찬(元贊)이 중창하였다. 이때 절 이름을 현재의 영지사(靈芝寺)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영지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영지사 대웅전(경상북도 문화유산) 영..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1. 8.
  •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로 유명한 청도 적천사.은행나무 한창 이쁠때 한번 가볼려고 했는데타이밍이 안 맞아서 못 가보고 이제서야 한번 찾아봅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29일        좁은 길을 따라 쭈욱 올라오니 넓직한 주차장이 나오고입구에 수령 800년의 적천사 은행나무가 보입니다.  적천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이 은행나무의 규모는 높이가 25~28m이고 가슴높이의 둘레가 11m이며,나이는 8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된다.나이의 추정은 고령 명종5년(1175) 보조국사 지눌이 이 사찰을 중건하고 심었다는 전설에 의거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이 나무는 보조국사가 지팡이를 꽂은 것이 자란 것이라고 한다.암나무로서 열매가 달리며 가지는 동서로 28.8m이며, 남북으로 31.3m이다.  참고로 운해사 운부암에.. 공감수 2 댓글수 2 2025. 1. 4.
  • 조망 맛집!!! 청도 대운암(大雲庵) 대운암 올라가는 길 고도를 바짝 높이며 올라갑니다.   올라 가는 도중 잠시 조망 보고 갑니다.좌측으로 철마산,화악산푹 꺼진곳은 밤티재.그리고 청도 남산   우측으로 멋진곳에  자리 잡은 대운암 보이네요.   대운암 가는 길 좌측으로 조망이 뻥 뚫린것이 풍광 좋습니다.잠시 차를 세우고 시원한 조망 즐기고 갑니다.역시  조망맛집 대운암이군요.     좁은 길로 한참을 올라오니 넓직한 주차장 도착.      대운암     청도 대운암(大雲庵) 오례산 산정에 자리한 이곳 암자는 1868년(조선 고종5년) 부암선사가 범굴에서 수도하다 현몽에 의해 창건하였다하며, 1900년 화재로 소실된 암자를 신범해 화상이 중창하고 경산 용성 반룡사에서 관세음보살 1구를 옮겨와 봉안하였다.    대운암 관음전       대운암..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1. 3.
  • 청도 대비사,삼족대 2024년 마지막 일요일느즈막하게 일어나 청도쪽으로 사찰 구경도 할겸 한바퀴 돌아봅니다.   방문일시: 204년 12월 29일        먼저 대비사 가는 길에 청도 만화정 잠시 보고 갑니다.  청도 만화정(萬和亭) 만화정(萬和亭)은 운강 박시묵이 운강고택 인근에 1864년 건립하여 학문을 닦고 강론하던 별서이다.만화정(萬和亭)이라는 이름은 정자 앞에 있는 들판의 이름인 만화평(萬花坪)에서중간의 꽃 화(花)를 화할 화(和)로 바꾸어 붙인 것이라 합니다.   대비지와 억산   청도 대비사 대비사는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9 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신라 진흥왕 때 신승이 호거산(운문산)에서 수행하던 중 산에 오령이 있음을 알고 지은 5개 사찰(대작갑사, 가슬갑사, 천문갑사.. 공감수 3 댓글수 1 2025. 1. 3.
  • 경산 반룡사 낙조,반룡산 반룡사 낙조 방문일시: 2024년 12월 27일 슬슬 올 한해도 저물어가니반룡사 낙조가 생각나서 오후 시간내서 용성 반룡사로 갑니다. 용천리 들어서며 뒤쪽으로 보이는 반룡산 담아보고. 반룡사(盤龍寺) 반룡사애 대한 설명이 적혀 있습니다. 반룡사는 신라 무열왕7년 이 지역 출신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신라 삼국통일의 성업을 달성하기 위한 호국도량이었다고 한다. 이하 생략... 한번 읽어보시고요... 반룡사 대웅전 일몰 시간까지 시간이 남아 뒷산이 반룡산 다녀옵니다. 반룡사 전경 반룡사 오르는 등로.정비는 잘 되어 있습니다. 반룡산(630m) 반룡사에서 3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신라 문무대왕 때 원효성사가 구룡산 자락에 반룡사.. 공감수 4 댓글수 2 2024. 12. 30.
  • 청도 공암풍벽 운문사쪽 둘러보고 복귀하면서 공암풍벽에서  일몰 보고 갑니다. 가는길에 운문댐 망향정에서 잠시 휴식.   망향정에서 운문댐 조망.      공암리 마을회관 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갑니다.   거연정(居然亭)         공암풍벽에 대한 설명. 공암풍벽은 운문면 대천리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인 운문면 공암리에 자리잡고 있는높이 30여 미터의 반월형 절벽을 말한다.........                        풍벽에 올라선다.   해가 슬슬 떨어집니다.   풍벽   지천교,장육산이 보이고.   장육산 줌.             공암풍벽에서 멋진 일몰 즐기고 복귀.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2. 30.
  • 북대암,운문사,사리암 북대암        일시: 2024년 12월 25일 운문사주차장-북대암-운문사-사리암-운문사주차장 이동거리: 12.89km 소요시간: 4시간 40분 정도(휴식포함)       12월 25일 크리스마스.교회 안 가고 쌩뚱맞게(?)  절로 갑니다.   운문사주차장에 주차하고 솔바람길 따라 걸어갑니다.   손긍훈 대장군,김식희 대장군 숭모비 두 장군의 숭모비가 운문사 입구에 있는 이유는신라말 이후 혼란기에 장군이 밀양의 추화산성을 거점으로 향토와 향민을 지키며, 이 일대의 비적들로 부터 운문사를 지켜준 공적에 의한 인연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두 장군에 얽힌 얘기는 다음에 한번 자세히....    북대암으로 올라갑니다.   극락교   운문사 내려다보고.   북대암   북대암은 운문사에서 보면 북쪽에 위치하.. 공감수 4 댓글수 1 2024. 12. 29.
  • 경산 불굴사,홍주암,무학산 한바퀴 전망바위 조망         일시: 2024년 12월 18일​불굴사-홍주암-무학산-미륵전-불굴사​도상거리:5.31km​소요시간:2시간 20분정도(휴식 포함)​자차 이용      오후 시간내서간만에 불굴사,홍주암과 무학산 한바퀴 돌아봅니다. 불굴사 주차장에 주차하고 올라갑니다.   주차장에서 내려다보니 멀리  보현산이 뚜렷하게 보이네요.추워진 날씨에 조망이 쨍하게 좋습니다.   불굴사 경내로 들어섭니다.   경내로 들어서면 불굴사 적멸보궁과 보물인 삼층석탑이 먼저 보입니다.   불굴사 적멸보궁과 삼층석탑   좌측으로는  불굴사 약사보전이 보입니다.   불굴사 약사보전   약사보전 안에 있는 약사여래부처님 "불굴사 약사여래불은 갓바위 약사여래불과 같은 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되며갓바위 약사불은 갓을 쓴 .. 공감수 41 댓글수 33 2024. 12. 20.
  • 포항 환호공원 스페이스워크 포항 환호공원 스페이스워크  포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떠오르고 있는 스페이스워크는 포항제철과 포항 앞 바다를 전망할 수 있는 곳으로포항제철에서 사회 환원의 취지로 기증한 스페이스워크의 총길이는 333m이며 717개의 계단으로 구성된 조형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8일      주차비,입장료 무료    해안둘레길 걷고 도구해수욕장에서 집으로 복귀할려다환호공원 스페이스워크 궁금해서 '환호공원' 네비 찍어보니 40분 걸리네요.집에 가는 시간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갈까 말까 망설이다 한번도 안 와봤기에 온김에 한번 보고 가자 싶어차를 몰아 포항 시내를 관통해서 넓직한 환호공원 주차장에 주차하고 올라갑니다.   주차장에서 나오면 갈림길이 나오는데오른쪽 오르막길로 올라갔습니다.한바..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2. 13.
  • 경주 운곡서원(雲谷書院) 운곡서원(雲谷書院) 경주 운곡서원은 조선 정조 8년(1784) 경주 향내의 유림과 전국의 후손들이 이곳에 추원사를 세우고 안동권씨 시조이자 고려 개국공신인 권행(權幸) 선생을 주향으로, 단종의 이모부인 충민공 권산해와 명종 때의 학자인 귀봉 권덕린공을 배향하다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대한제국 광무칠년(1903) 이 자리에 단을 쌓고 제향을 봉행하다1976년에 중창하고 향의에 따라 운곡서원으로 개액되었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8일           포항쪽으로 가는 길에 은행나무로 유명한경주 운곡서원 들러봤습니다.    입구에 있는 넓직한 주차장에 주차하고 올라갑니다.       운곡서원으로 올라서면 신도비가 먼저 보입니다.     '고려태사권공신도비'가   여기..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11.
  • 청도 하평리 은행나무,월강재(月岡齋) 청도 하평리 은행나무  하평리 은행나무는 낙안당 김세중(1484~1533)이조선 중종 4년에 이 지역의 지세가 명지이고 인심이 순후하다 하여이를 기념하기 위해 심었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나무의 수령은 약 450년 된것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27m, 둘레는 7.6m이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1일         육화산 산행 후 복귀하면서매전면에 있는 하평리 은행나무 들러봤습니다. 작년에 한번 다녀온곳인데올 가을에 타이밍 잘 맞춰서 다녀와야지 했는데까먹고 있다가 문득 생각나서 들러봤는데잎은 다 떨어져버려서 내년을 기약해야했습니다.       '낙안당선생김공수식향수' 낙안당 김선생이 손수 은행나무를 심다.        하평리 은행마무 밑으로 재실이 하나 보이는데이는 은행나무를 심은 낙안당 김세중의.. 공감수 3 댓글수 1 2024. 12. 11.
  • 늦은 가을 성주 만귀정(晩歸亭) 방문일시: 2024년 11월 30일          가야산 법전리 코스 산행 후가까운 거리에 있는 만귀정 잠시 들러봤습니다. 겨울의 문앞에 들어선 늦은 가을의 만귀정은시끌벅적 했던 여름날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고호젓한  늦가을의 정취만이 가득했습니다.   만귀정 입구에 주차하고 올라가면만귀정(晩歸亭) 이라는 표석이 나옵니다.  만귀정은 응와  이원조(1782~1871) 선생이 1851년 포천구곡 끝자락에 건립하였고선생은 평소 자신의 학문과 후학 양성에 정진코자 하였으나뜻을 이루지 못하시다가 만년에 본 정자를 건립하여 만귀정이라 이름하니"늦게야 학문으로 돌아왔음"을 뜻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선생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면 응와 이원조 선생의 자는 주현이고 호는 응와로성주 이판서로 세상에 알려져 있.. 공감수 3 댓글수 2 2024. 12. 6.
  • 밀양 산성산(일자봉),금시당,월연정,오연정,암새들 일시: 2024년 11월 23일 밀양역-용두산산림욕장-산성산-금시당-월연정-오연정-암새들-밀양역 이동거리: 약 17km 정도 소요시간: 약 5시간 정도(휴식 포함) 이쁘게 물든 밀양 금시당과 오연정 은행나무 구경하고앞전에 아리랑길 걸을때 패스 했던 산성산도 올라보기로 하고 밀양으로 갑니다. 산성산은 2017년 영알 실크로드 배태고개,금오산,만어산,산성산 구간 진행 할때지친 몸을 이끌고 마지막에 들렀던 곳이라 그때 다녀왔었나 할 정도로그닥 기억에는 없네요. 이번에는 쉬엄쉬엄 올라가는 길이라멋진 조망을 보며 산성산으로 올라 금시당으로 내려서서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도 구경하고 월연정,오연정 그리고 최근에 알게 된 암새들 은행나무숲까지 구경하고다시 밀양역으로 한바퀴 돌아볼 생각입니다. 경.. 공감수 26 댓글수 12 2024. 12. 3.
  • 경산 환성사 적단풍(赤丹楓) 환성사 적단풍(赤丹楓)    방문일시: 2024년 11월 26일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씨올 가을  환성사쪽으로 한번도 못 가봤기에점심 시간 이용해서 환성사 둘러보고환성산 임도길 따라 잠시 걷고  왔습니다.    환성사 앞 공터에 도착하니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가운데 바람에 낙엽이 날리며가을 끝자락의 쓸쓸한 분위기가 느껴지네요. 날씨도 많이 추워습니다.이제 이 가을도 슬슬 마지막을 향해 가는 느낌이네요.   극락교를 지나서 올라갑니다. 환성사는 하양에서 가까운 곳이라 자주 들르는 곳인데어딜 그렇게 싸돌아다녔는지...올 가을에는 한번도 못 왔네요.    올라서면 환성사 일주문이 보입니다.   환성사 일주문과 환성사 내력이 적힌  안내판이 있습니다.    일주문을 지나 올라가면환성사 수월관과 앙상..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1. 27.
  • 영천 우로지 메타쉐쿼이아 단풍 임고서원 들러보고 복귀하면서근처에 있는 우로지도 잠시 들러봤는데메타쉐쿼이아 단풍이 갈색으로 이쁘게 물들어 있어서잠시 구경하며 풍경 사진 몇장 담아봤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1월 25일    네비에 망정2 공영주차장 치고 오시면주차하기 편합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25.
  • 임고서원 은행나무 임고서원 은행나무 방문일시: 2024년 11월 25일 오늘 금호쪽 일 마치고문득 임고서원 은행나무가 생각나서멀지 않은 곳이라 잠시 다녀왔습니다. 앞전에 갔을 때는 아직 파릇파릇 해서노랗게 물들면 다시 와야지 생각하고 있었는데타이밍을 놓쳐 버려서 잎은 거의 다 떨어지고바닥에만 노란 은행잎이 수북했습니다. 지난 주에 다녀왔어야 했는데 아쉽게 되었네요.ㅎㅎ 잎은 거의 다 떨어진 상태입니다.지난 주 중반쯤에 좋았겠네요.타이밍 한번 맞추기 힘드네요. 바닥에 노란 은행잎이 수북하니 운치는 나름 있었습니다. 올해 요런 모습 한번 볼려고 했는데 벼루고 있었는데방심해서 놓쳐버렸네요.내년을 기약해야겠습니다. 조옹대에 올라 임고서원 전경 담아 보고아쉬움을 뒤로 하고 ..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25.
  • 밀양 월연정 가을 풍경 월연정(月淵亭)의 가을 월연정은 본래 월영사라는 사찰이 있던 곳으로한림학사를 지낸 월연 이태(李迨)선생이1520년에 세운 정사(亭舍)입니다. 방문일시: 2024년 11월 23일 금시당 은행나무 둘러보고 오연정 은행나무 보러 가는길에중간에 있는 월연정 지나가면서 월연정의 가을 풍경 담아봤습니다. 여름날 이쁜 모습을 뽐내던 배롱나무의 화려함은 없었지만추색(秋色)이 완연한 월연정의 가을은 운치가 있었습니다. 가을이 깊어가네요...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1. 25.
  • 밀양 암새들 은행나무숲 방문일시: 2024년 11월 23일         밀양쪽 은행나무 볼만한곳 검색하다가우연히 알게된 곳인데,금시당에서 얼마 멀지 않은 곳이라오연정 은행나무 구경하고 밀양역으로 복귀하면서한번 들러봤습니다. 규모는 경주 도리마을 은행나무숲처럼 크지는 않았지만빽빽한 은행나무숲이 노랗게 물들어 분위기는 아주 좋았습니다. 금시당 가신다면 한번 들러봐도 좋을 듯 하네요.입구 주차장은 비포장에 협소한 곳이니주변 도로에 주차하고 걸어서 오는것도 좋을 듯 했습니다.    암새들 은행나무숲 입구 모습                         잘 구경하고 밀양역까지 걸어서 복귀했습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24.
  • 밀양 오연정 은행나무 방문일시: 2024년 11월 23일         금시당 은행나무 둘러보고얼마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오연정으로 왔습니다. 오연정 은행나무도 배롱나무 구경 왔을 때가을에 보러 와야지 벼르던 곳이라 찾아봤는데 여긴 금시당 보다 많이 빠른 상태였고절정을 지나 제법 잎이 떨어진 상태였지만바닥에는 노란 단풍이 황금빛 주단을 깔아놓은듯한 모습바람에 흩나리는 은행잎은 운치를 더해주고 있었습니다. 이날도 사진 찍는 동안 잎이 많이 떨어지고 있었는데여긴 이번 주말 지나면 슬슬 내년을 기약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오연정으로 올라서니 가을가을한 모습에 분위기 참 좋았습니다.    금시당과는 틀리게 상대적으로 사람도 별로 없어서 조용하니 참 좋았고멋진 모델이 보여서 한커트 남깁니다.   오연정은 지금 보수중이라서 공사.. 공감수 3 댓글수 0 2024. 11. 24.
  • 밀양 금시당 은행나무 올해 금시당 몇번 다녀오면서올 가을 금시당 은행나무 물들면 꼭 와야지 벼루고 있었는데마침 노랗게 물들었다는 소식이 들려오길래금시당 은행나무 구경하러 찾아봤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1월 23일 현재 금시당 은행나무는 남쪽만 조금 초록초록한 곳이 보이고거의 노랗게 예쁘게 물들어 있었습니다. 아직 잎은 별로 떨어지지 않은 싱싱한 상태였는데,주초 지나면 잎이 날리면서 운치를 더 해 줄 듯 했습니다. 금시당 관람시간도 따로 있으니 참고하시고요.반려동물 동반 입장 금지입니다. 그리고 주말 오전 9시 이후에는 주차통제하고 있으니금시당유원지 부근에 주차하고걸어서 올라가야 합니다. 안이나 밖이나 구경 오신분들이 정말 많았습니다. 잘 구경하고 다음 행선지로.. 공감수 4 댓글수 3 2024. 11. 23.
  • 경산 삼성산 임도길 단풍 방문일시: 2024년 11월 22일      자인쪽 일보러 간 김에가을이면 단풍으로 이쁘게 물드는 삼성산 임도길 잠시 다녀왔습니다.상대고개에서 중방재까지 걸어봤는데올해 좀 늦게 방문했나 싶었는데 생각보다 이쁜 모습이었고아직 초록초록한 놈도 보이고 잎이 말라서 말린 놈도 보였지만전체적으로 아직 볼만한 풍경이었습니다. 근처 지나신다면 살방살방 걸어봐도 좋을 듯 합니다.    상대고개 입구쪽에 주차하고 단풍 구경하며 걸어봤습니다.주차장은 대여섯대 정도 주차가능합니다.                                       좌측 임도따라 갑니다.우측 내려가는 임도는 남천면 신방리로 내려가는 임도입니다.         중방재 여기서 삼성산으로 오를수도 있고 상대온천으로 하산할 수 있습니다.    중방..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1. 23.
  • 은해사 운부암 가을 풍경 운부암(雲浮庵)   방문일시: 2024년 11월 14일          운부암 은행나무도 볼겸 은해사에서 운부암까지 걸어봤습니다.운부암 은행나무는 올해는 타이밍을 못 맟춰서가보니 다 떨어지고 앙상하더군요.ㅎㅎ바닥에 떨어진 노란 단풍잎만이 운치를 더해주고 있었습니다.   은해사 주차장에 주차하고 올라갑니다.주차장은 물들어 가는 단풍들로 아주 이쁜 모습이네요.   저번에 왔을 때는 이쪽이 이뻤는데여기는 이젠 좀 시들어가는 분위기입니다.   일주문 지나서 은해사 경내로 들어섭니다.      은해사 보화루 앞 단풍도 예전 같지 않네요.아직 물이 안 든건지 더위가 오래 가다보니단풍들이 영 정신을 못 차리네요.     예년 울긋불긋했던 신일지 단풍도 누리끼리할 뿐이고.그리고 물까지 빼버려서 시커먼 물이 올해는 영 ..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1. 23.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