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23 상서장,불곡마애여래좌상,보리사 마애불,미륵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요리조리 한바퀴 돌아봤습니다. 경주 상서장 상서장은 신라 말의 문신이자 대문장가인 고운 최치원이 '시무십조'를 쓴 곳입니다. 상서장 둘러보고 조금 이동해서 불곡마애여래좌상으로 올라갑니다.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보물 제198호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마애불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은 바위 면을 90cm 깊이의 굴 모양으로 파내고 그 안에 새긴 불상이다.이 불상이 있어 계곡을 불골,불곡,부처 골짜기라 부른다. 불곡마애여래좌상은 마애불상의 일반적인 특징과 같이 윗부분을 보다 입체적으로 하고 아래쪽을 그보다 얕게 조각하였다. 불상은 선정인(禪定印: 참선하는 모습의 손 자세) 형태의 수인(手印: 손 자세)을 한 채 가부좌(跏趺坐: 양반 자세로 앉은 모습)를 하고 있다. 불상.. 2025. 2. 11. 팔공산 암자 한바퀴(천성암,기기암,백흥암,중앙암,묘봉암) 일시: 2025년 1월 12일 천성암버스정류장-천성암-기기암-백흥암-중앙암-묘봉암-갓바위주차장 이동거리: 8.49km 소요시간: 4시간 50분(휴식포함) 천성암 버스정류장에서 시작합니다. 천성암 방향으로 가파른 시멘길로 올라서고. 간만에 천성암. 극락전 천성암 전경. 잔설이 남아 있어 응달진 사면길은 조심히 진행. 은해사에서 올라오는 능선에 접속해서 원효암 방향으로. 조금 올라서면 나오는 이정표에서 기기암 방향으로 진행.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기기암. 기기암 가는길...언제 걸어도 좋다. 계곡은 꽁꽁. 푸근한 길로 이어진다. 기기암은 현재 보수중.기기암에서 따끈한 커피 한잔 하고 갑니다. 커피 한잔 때리고 내려와 입구에서 묘봉암,능성재 방향.. 2025. 2. 10. 청도 금호서원(琴湖書院),식성군 이운룡 청도 금호서원은 임진왜란 때 옥포해전에서 큰 공을 세운 식성군 이운룡을 제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이운룡은 본관이 재령이며 청도 출신이다.1592년 5월 7일 원균의 경상도 수군과 이순신의 전라도 수군이 합세한 옥포해전에서 그는 선봉장으로서 아군의 전군을 진두지휘하여 용전 분격하였다. 그 결과 적선 50여척을 분소시키는 큰 전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임진왜란 최초의 승전이었다. 이후에도 그는 많은 전공을 세웠고, 1596년에는 이순신의 천거로 경상좌수사에 승진되었다. 1604년에 그는 식성군에 봉해졌고 1605년에는 내직으로 도총부부총관.비변사당상관을 지냈으며 외직으로는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많은 공적을 남겼다. 그리하여 그는 사후에 병조판서에 주증되었으며, 청도의 금호서원과 의령의 기강서원에 재향되었다. .. 2025. 2. 1. 청도 자계서원(紫溪書院),탁영 김일손 청도쪽 한바퀴 돌면서 은행나무로 유명한청도 자계서원 들러보았습니다. 자계서원은 초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탁영 김일손 선생을 제향하고 있는 서원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11일 자계서원(紫溪書院)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탁영 김일손 선생(1464~1498)과 조부이신 절효 김극일 선생, 장조카 삼족당 김대유 선생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이곳은 원래 탁영선생이 공부하던 운계정사였으나 선생이 무오사화때 화를 입고 서거하신 후 중종 13년(1518)에 청도지역의 유생들이 뜻을 모아 사당으로 바꾸고 자계사(紫溪祠)라 하고 탁영 선생을 제향해 왔다. 선생이 무오사화로 서거하실 때 서원 앞 시냇물이 붉은 색으로 바뀐 이변이 있어 자계(紫溪)라 한 것이다. 서원에는 사당인 존덕사(尊.. 2025. 2. 1. 경산 환성사,환성산 일시: 2024년 1월 7일 환성사-성전암-환성산-환성사 이동거리: 7.83km 소요시간: 3시간 15분(휴식포함) 오후 시간내서 가까운 환성산 한바쿠 돌아봅니다. 환성사 입구에 주차하고 시작. 환성사 경내로 올라갑니다. 환성사 환성사는 신라 흥덕왕 10년에 심지왕사가 처음 건립하였으나,고려말기에 화재로 불탔다고 한다.조선 인조 13년에 신감대사가 새로 지었으며,광무 원년(1887)에 항월대사가 다시 지웠다고 합니다. 전설에 의하면 심지왕사가 절을 짓고 난 이후부터 갑자기 절이 번창하기 시작하여많은 신도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는데,조선 초기에 절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이를 귀찮게 여긴 주지승이한 객승의 조언에 따라 연못을 메웠더니연못속의 금송아지 한 마리가 슬피 울며 동화사쪽으.. 2025. 1. 23.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용명리 삼층석탑 단석산 산행 후 복귀하면서 근처 문화재 2군데 들러봤습니다.먼저 방문한 곳은 지난 벽도산 산행 후 들러보았던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5일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보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은벽도산 자락의 서쪽으로 향한 바위에 새겨져 있는 부처와 보살의 입상이다. 광배 모양을 따라 바위를 파내어 평평하게 만든 면에불상과 보살상을 돋을새김하였다. 중앙에 아미타여래상과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위치하고 있다. 중앙의 아미타여래상은 큰 머리 위에 상투를 튼 것처럼 보이는육계가 솟아 올라 있다. 이 육계가 넓고 낮아서 마치 모자를 쓴 것처럼 보인다.옷은 얇게 표현되어 몸의 굴곡이 드러난다.오른손은 내리고 왼손은 가슴 앞에 둔 채 엄지와 가운뎃손.. 2025. 1. 22. 경주 신선사,단석산 오늘은 어디로 가볼까 하다가신선사로 해서 단석산 한바리 올라봅니다. 일시: 2025년 1월 5일 신선사-단석산-신선사 이동거리: 4.11km 소요시간: 2시간 20분(휴식포함) 탐방센터 근처에 주차하고 시작. 신선사까지 가파른 포장 오름길.경사가 장난 아닙니다. 신선사 도착.입구에서 신선사까지 30분 정도 걸렸습니다. 단석산 신선사에 대해서 알아보면. 신선사는 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에 속한다.창건연대 및 역사 등은 미상이다. 그러나 1969년 한국일보사가 주관한 신라오악조사단(新羅五岳調査團)에 의하여 단석산의 상인암(上人巖)은 김유신(金庾信)이 삼국통일의 염원을 신명(神明)에게 기도하던 중악(中岳)의 석굴임이 밝혀졌고, 이 상인암에 새겨진 명문에 의해서 본래의 이름이 신선.. 2025. 1. 21. 군위 인각사,아미산 앵기랑바위,보현산댐 출렁다리 군위 화산산성 풍차전망대에서 시원한 조망 즐기고인각사등 군위쪽으로 한바퀴 쭈욱 이어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4일 군위 인각사(麟角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의 말사(末寺)이다.절 북쪽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속전(俗傳)에 기린의 뿔이 이 바위에 걸렸다고 하여 절 이름을 인각사라 하였다고 한다. 창건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설이 있다.권상로의 『조선사찰전서』에서는 643년(선덕여왕 12)에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하고,1963년 이도원의 『인각사중수기』에서는 642년(선덕여왕 11)에 의상(義相)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과 군위군청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5차에 걸쳐 실시한 발굴조사(發掘調査)에서 거대한 사찰터와 통일신라.. 2025. 1. 20. 화산산성 풍차전망대 거조사 둘러보고 날씨가 쨍하니 좋아서군위댐 방향으로 조망이 시원한 화산산성 풍차전망대로 올라봅니다. 방문일시: 2024년 1월 4일 올라가면서 잠시 차를 세우고 옥녀봉과 화수삼거리 일대 풍경 담아보고.그리고 뒤쪽으로는 금성산,비봉산이 선명하네요. 좌측으로 조림산. 옥녀봉과 선암산.겨울철만의 근육질 능선 줄기들이 시원시원한 모습.이만한 풍경만 해도 올라온 기름값은 다 뽑은 셈입니다.눈이 시원시원하네요. 풍차전망대로 내려가기전 잠시 차를 세우고 담아본 풍경.미세 없는 날 오시면 요렇게 시원한 모습 즐길 수 있습니다. 풍광 참 좋습니다. 고냉지 밭데기들과 그리고 풍차.그리도 뒤쪽으로 병풍처럼 시원시원한 풍경들.언제 봐도 참 좋네요. 한파가 몰아쳐서 그런지 조용했던.. 2025. 1. 13. 영천 거조사 영산전 영천 거조사를 시작으로 영천,군위쪽으로 한바퀴 돌아봤습니다.먼저 방문한 곳은 영천시 청통면에 위치한 거조사입니다. 방문일시: 2025년 1월 4일 영산루 거조사는 신라 효성왕 2년(738) 원참조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다고도 하고 경덕왕때 세워졌다고도 한다.거조사라는 이름은 팔공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여,아미타불이 항상 머문다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사실 이절은 은해사보다 먼저 지어졌지만, 지금은 은해사에 속하는 말사이다. 거조사 영산전(靈山殿)(국보 제 14호)거조사는 은해사 보다 먼저 지었지만, 근래에 와서 은해사에 속하는 암자가 되어 거조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돌계단을 오르는 비교적 높은 기단 위에 소박하고 간결하게 지은 영산전은 거조암의 중심 건물이다. 고려.. 2025. 1. 13. 팔공산 운부능선 따라 한바퀴...은해사,운부암 운부능선 진행중에 암봉 위에서. 일시: 2025년 1월 1일 은해사주차장-치일지-수림장-559봉(봉산)-운부고개-운부암-은해사 이동거리: 15.03km 소요시간: 5시간 40분 정도(휴식포함) 2025년 1월 1일 신년산행.간만에 운부능선 따라 은해사,운부암으로 한바퀴 돌아봅니다. 은해사주차장 주차하고 시작. 우측으로 해서 앞에 보이는 치일지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2024년 12월 9일부터 은해사 버스시간표 변경이 있군요.참고하시고요. 골목길로 진입. 통정대부 벽진 이씨 묘지 지나서 올라갑니다.통정대부는 조선시대 정 3품의 품계. 통정대부벽진이씨,숙부인능주구씨 가의대부 청주 한씨 묘가의대부는 조선 시대 종2품의 품계. 가의대부청주한씨,정부.. 2025. 1. 9. 영천 만불사(萬佛寺) 10년만에 영천 만불사 구경.그때도 규모가 상당했는데 더 넓어진 느낌이네요.차를 타고 요리조리 이동하는 분들도 보이고.입구에 주차하고 한번 둘러봤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31일 만불사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면. 영천 만불사는 승려 학성이 기존과는 다른 현대 불교의 서원을 이루고자 1987년 서울, 부산, 대구에 포교원을 설립하며 시작되어, 1995년 완공한 만불산에 있는 사찰이다.창건에 앞서 만불보전 건립, 부처님 진신사리 이운, 노천 아미타입불 봉안 등 많은 불사를 진행하면서 현대 불교의 전파와 함께 문화·의료·복지에 큰 힘을 쏟았다. 무료 만발 공양과 가람 불사 결과, 현재 만불회의 신도 수는 전국 30만에 이르며, 특히 1996년 극락 도량의 부도 묘를 개원하면서 납골 .. 2025. 1. 8. 영천 영지사(靈芝寺) 2024년 마지막 날...영지사 등 영천쪽으로 한바퀴 돌아봤습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31일 영지사 가는 길에 도잠서원,도잠지 그리고 구룡산 담아보고.도잠서원은 지산 조호익 선생을 모시는 서원입니다. 도잠서원 지나 영지사 입구에 도착해서 주차하고 둘러봅니다. 영지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로 신라 태종무열왕(재위 654~6610때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웅정암(熊井庵)이라고 하였고 1592년(선조 25년)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3년(선조 36년) 지조(智照)와 원찬(元贊)이 중창하였다. 이때 절 이름을 현재의 영지사(靈芝寺)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영지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영지사 대웅전(경상북도 문화유산) 영.. 2025. 1. 8.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로 유명한 청도 적천사.은행나무 한창 이쁠때 한번 가볼려고 했는데타이밍이 안 맞아서 못 가보고 이제서야 한번 찾아봅니다. 방문일시: 2024년 12월 29일 좁은 길을 따라 쭈욱 올라오니 넓직한 주차장이 나오고입구에 수령 800년의 적천사 은행나무가 보입니다. 적천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이 은행나무의 규모는 높이가 25~28m이고 가슴높이의 둘레가 11m이며,나이는 8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된다.나이의 추정은 고령 명종5년(1175) 보조국사 지눌이 이 사찰을 중건하고 심었다는 전설에 의거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이 나무는 보조국사가 지팡이를 꽂은 것이 자란 것이라고 한다.암나무로서 열매가 달리며 가지는 동서로 28.8m이며, 남북으로 31.3m이다. 참고로 운해사 운부암에.. 2025. 1. 4. 조망 맛집!!! 청도 대운암(大雲庵) 대운암 올라가는 길 고도를 바짝 높이며 올라갑니다. 올라 가는 도중 잠시 조망 보고 갑니다.좌측으로 철마산,화악산푹 꺼진곳은 밤티재.그리고 청도 남산 우측으로 멋진곳에 자리 잡은 대운암 보이네요. 대운암 가는 길 좌측으로 조망이 뻥 뚫린것이 풍광 좋습니다.잠시 차를 세우고 시원한 조망 즐기고 갑니다.역시 조망맛집 대운암이군요. 좁은 길로 한참을 올라오니 넓직한 주차장 도착. 대운암 청도 대운암(大雲庵) 오례산 산정에 자리한 이곳 암자는 1868년(조선 고종5년) 부암선사가 범굴에서 수도하다 현몽에 의해 창건하였다하며, 1900년 화재로 소실된 암자를 신범해 화상이 중창하고 경산 용성 반룡사에서 관세음보살 1구를 옮겨와 봉안하였다. 대운암 관음전 대운암.. 2025. 1. 3. 이전 1 2 3 4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