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0

청도 유등연지(유호연지) 얼마전에 다녀왔던 청도 유등지어무이 모시고 다시 한번 다녀왔습니다.연꽃 상태는 비슷했고 배롱나무가 피기 시작해서이쁜 풍경을 보여주었습니다.           '군자정'   '4代'                     -2024년 7월 9일 유등연지- 2024. 7. 17.
대구 망우당공원 배롱나무,영남제일관 대구 망우당공원 배롱나무(2024년 7월 9일)         대구 볼일 보고 들어오는 길에 망우당공원 배롱나무도 볼겸망우당공원과 영남제일관 들러봤습니다.      영남제일관 앞에 대구부수성비와 영영축성비   '대구부수성비' 이 비는 경상도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김세호가경상감영의 성을 대대적으로 보수한 뒤, 그 사실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입니다.   '영영축성비' 이 비는 경상도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민응수가임진왜란으로 허물어진 대구읍성을 쌓은 뒤,그 규모와 공사 과정을 기록하여 1737(영조1)에 세운 것입니다.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 대구 읍성은 1590년(선조23)에 처음 만들때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임진왜란때 허물어진 뒤 1836년(영조12)에 돌로 다시 쌓아 석성을 만들었다.. 2024. 7. 17.
영천 대창면 조곡리 창녕 조씨 추모재(追慕齋) 대창면 조곡리 창녕 조씨 추모재(追慕齋) 조선 시대 대·소과에 급제하고 참의를 지낸 조변안과 예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통정대부 작위를 받은 아들 조석보 부자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건립한 재사. 조변안의 아버지는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조상치(曺尙治)이며, 어머니는 정부인(貞夫人) 의성 김씨(義城金氏)로 목사(牧使) 김천일(金千鎰)의 딸이다. 조변안의 본관은 창녕,자는 통지(通之)이며, 1413년(태종 13)에 태어나 1473년(성종 4)에 6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조변안은 성품이 청렴하고 젊어서부터 문장에 능하였다. 1432년(세종 14) 생원시, 1435년(세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을 거쳐 예조참의(禮曹參議), 춘추관 승문원사(春秋館承文院事)를 지냈다. 성삼문(成.. 2024. 7. 17.
영천 지산고택(芝山故宅),지산 조호익 선생 대창쪽으로 해서 복귀하면서지산고택 배롱나무가 피어있을듯 하여 들러봤는데역시나 배롱나무 한그루가 참하게 피어있었습니다.    지산고택은 조선 선조 때 문신이자 학자인지산 조호익(曺好益,1545~1609)의 종가에서 대대로 사용하는 종택입니다. 그럼 조호익 선생은 어떤 분이신가...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사우(士友), 호는 지산(芝山)이다. 조호익 선생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서 성리학을 연구하였고,16세인 명종 15년(1560)에 생원.진사에 합격하고 문과 초시에도 합격하였다. 그러나 선조 9년(1576)에 강동에 유배되었고유배지에서 후학을 양성하여 관서부자(關西夫子)의 어필을 하사 받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배지에서 풀려나소모관이 되어 군민을 모으는등 활약하였다. 정유재란 때 다시 강동에서 의병을.. 2024. 7. 17.
광주이씨(廣州李氏) 시조 이당(李唐) 묘역 도유리에서  대창쪽으로 넘어가다보면광주 이씨 시조인 판서공 이당 묘역이 보인다.  광주이씨(廣州李氏)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시조는 신라 내물왕 시절에 내사령을 지냈다고 전해지는 이자성(李自成)이며 중시조는 고려 말에 국자감 생원시에 합격하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조판서 겸 지의금부사를 지낸 이당(李唐)이다. 그러나 광주이씨 계파 간에 시조에 대한 의견이 다른데, 석탄공파(石灘公派), 암탄공파, 율정공파는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고 있다. 광주이씨 대동보에는 이당 이전의 계보도 소개되어 있다.광주 이씨의 광주는 경기도 광주시(廣州市)이고, 광주광역시를 본으로 하는 이씨는 광산 이씨(光山 李氏)다.  광주이씨족보서는 그 조상들이 남북국시대(발해,신라시대) 신라의 칠원성(현.. 2024. 7. 17.
영천 북안 도유재,김해김씨충간공 묘소 북안면 도유리 마을 지나는데 김해김씨충간공묘소라는 표석과 마을 안내판이 보여서 살펴본다. 도유리 마을의 역사와 유래가 적혀 있다. "밋밋한 구릉지를 북쪽으로 넘으면 영천시 괴연동에 이르고 서쪽으로 넘으면 대창면 직천리에 이른다. 남쪽으로는 도유지가 그림같이 펼쳐져 있는 곳이라 도유리라 하였다." "약 500년 전에 개척한 지역으로 경주에서 서울로 가는 한 길목 이었다 하여 도유리라 했으며, 광릉은 광주이씨의 시조인 이당선생의 묘가 왕릉과 같다하여 광주이씨의 광자와 왕릉의 릉자를 따서 광릉이라 불리어졌다. 조선 태종 14년에 영천군 원곡면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국역 폐합시 영천군 북안면에 속하였다." '김해김씨충간공묘소' 도유재 뒤쪽에 김해김씨문간공묘소가 있었다. 도유재는 고려시대 3중 대신 도첨 좌.. 2024. 7. 16.
북안 명주교회 능소화,명주초등(폐교) 영천 북안에서 대창쪽으로 넘어가는데,명주교회옆 민가에 능소화가 멋드러지게 피어 있어차를 세우고 구경했습니다.    소나기가 한바탕 몰아치고 지난간뒤라 생글생글합니다.       명주교회               바로 옆 폐교인 명주초등학교도 구경했습니다.     '웃음이 젋음이다' '일소일소 일노일노' 이 말이 생각나네요.한번 웃으면 한살 젊어지고 한번 화를 내면 나이를 더 먹습니다.   명주초등학교1943년 4월 26일 개교1999년 9월 1일 폐교졸업생 3,631명  오래된 고목만이 폐교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2024년 7월 7일 영천 북안 명주리 지나는길에- 2024. 7. 16.
가사문학의 대가 노계 박인로,도계서원,노계문학관 박인로(朴仁老, 1561년~1642년)는 조선의 무인이자 시인이다. 자는 덕옹(德翁), 호는 노계(盧溪)·무하옹(無何翁)이다. 아버지는 승의부위 박석(朴碩)이며, 어머니는 참봉 주순신(朱舜臣)의 딸이다. 영천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려서부터 시에 뛰어났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정세아(鄭世雅)의 휘하에서 별시위가 되어 왜군을 무찔렀다. 이어 수군절도사 성윤문(成允文)에게 발탁되어 그 막하로 종군하였고, 1598년 왜군이 퇴각할 당시 사졸(士卒)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가사 《태평사》(太平司)를 지었다. 이듬해인 1599년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守門將)·선전관을 지내고 이어 조라포(助羅浦) 수군만호로 부임하여 군사력 배양을 꾀하고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세워졌다. 뒤에 사직하.. 2024. 7. 16.
영천 향교(永川 鄕校) 영천향교(永川鄕校) 영천향교는 조선 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모시고 지방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세종 17년(1435년)에 대성전을 세우고 중종 8년(1513)에 군수 김흠조가 고쳐 지었다.임진왜란 때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 이현남이 대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5성의 위패를 자양면 기룡산의 성혈암으로 옮겼다가 이후 다시 제자리에 모셨다. 광해군 14년(1622)에 군수 황효의가 다시 지었으며 명륜당은 명종 1년(1546)에 군수 이중량이 만들었는데 선조 3년(1570)불에 타서 사라졌다. 임진왜란 뒤 1619년에 군수 조명운이 다시 짓다가 정조 6년(1782)화재로 일부 건물이 불에 타서 2년 뒤인 1784년 군수 심진이 다시 보수하였다. 그 뒤 현종부터 숙종 때까지 군수 한명원이 전사청을 지웠.. 2024. 7. 16.
영천 숭렬당(崇烈堂),배롱나무 영천 숭렬당(崇烈堂) 숭렬당은 세종 원년(1419) 쓰시마 정벌과 야인 토벌등에 혁혁한 공적을 남겨일명 복장군(福將軍)이라 불리었던 명장 위양공 이순몽 장군이 평소 기거했던 집이다.현재는 장군의 위패를 받들고 봄 가을로 제사를 드리고 있다.   숭렬당 앞 마당에 있는 숭렬공원 표석   이순몽의 본관은 영천(永川). 아버지는 영양군(永陽君) 이응(李膺)이며, 어머니는 전주최씨(全州崔氏)로 판서 최병례(崔丙禮)의 딸이다. 참고로 '영양'은 영천의 옛이름입니다.  1405년(태종 5) 음직(蔭職)으로 벼슬에 올라 1417년 무과에 급제, 1418년 의용위절제사(義勇衛節制使)·동지총제가 되었고 1419년(세종 1) 우군절제사에 임명되었다. 그 뒤 경상좌도병마절제사·중군도총제·좌군도총제·충청도병마도절제사·삼군도진.. 2024. 7. 15.
(영천)성내철길숲 배롱나무 일요일 비소식에 가까운 영천쪽으로 배롱나무 꽃도 구경할겸 이리저리 한바퀴 돌아봤습니다. 먼저 방문한곳은 '성내철길숲' 입니다. 영천 성내철길숲은 대구선(동대구-영천) 복선 전철사업으로 발생된 폐철도 유휴부지중 성내동 일원에 180m 길이로 조성된 도시숲입니다. 성내동 새마을구판장 앞에 주차공간이 좀 있습니다. 정겹네요. 배롱나무가 이쁘게 피기 시작했습니다. '배롱나무'8월에 꽃잎에 주름이 많은 꽃이 피며, 10월에 결실한다. 꽃이 오랫동안 피어 있어 '백일홍 나무'라고 한다. 배롱나무의 꽃말은 꽃 색깔에 따라 다르다고 하네요. 붉은 계열은 '부귀',하양 계열은 '말벗,수다스러움'이라고 합니다. 베롱나무는 사찰이나 서원에 주로 많이 심는데요, 이유는 배롱나무가 껍질을 벗고 속살을 드러내는 것처럼 스님들 역.. 2024. 7. 14.
영천 수도사(修道寺) 수도사(修道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의 말사이다.647년(진덕여왕 1)에 자장(慈藏)과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한다.그 뒤 1296년(충렬왕 22)에 중창하였고, 1805년(순조 5)에 징월(澄月)이 중창하였으며, 1899년(광무 3) 산령각을 지었고, 1929년경천(敬天)이 원통전을 중수하였다. 1979년 해불당(海佛堂)·해회루(海會樓)·요사 등을 중건하였다. 1985년에는 삼성각을 지었으며, 2000년에는 석조 약사여래 삼존상을 봉안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래의 명칭은 금당사(金堂寺)이었지만, 화재로 소실된 뒤 중창을 할 때 수도사로 절 이름을 바꾸었다고 전한다.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인 원통전(圓通殿)과 삼성각·산령각·해회루·요사채 등이 있다. 괘불(掛佛)은 1704.. 2024. 7. 13.
영천 귀천서원(龜川書院) 공산폭포 보러 가는 길에 치산리 지나는데귀천서원이 최근에 정비가 된듯 하여 들러봤습니다.  '귀천서원(龜川書院)' 귀천서원은 임진왜란 때 의병대장이었던 백운재(白雲齋) 권응수 장군을 주향으로 모신 서원으로 조선 1676년(숙종2)에 창건하여 1685년(숙종11)에 사액되었고 , 이후 의병장 권응심(권응수 장군의 재종제) 장군을 배향하였으며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을 훼철되었다가 1923년 복설하였다.   신도비각과 하마비가 보인다.   하마비(下馬碑)  말에서 내려 걸어감으로써 예의를 표시하라는 문구를 새겨서 궐문(闕門) · 능묘(陵廟) · 문묘(文廟) · 서원(書院) 등의 입구에 세우는 비석이다.   권응수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대장으로 영천성을 전국 최초로 탈환하는 등 많은 공훈을 세워 1604년(선.. 2024. 7. 13.
팔공산 치산계곡,공산폭포(2024년 7월 12일) 금요일 오후 시간내서 치산계곡과 공산폭포 보고 왔습니다. 수도사에 주차하고 시작했습니다. 내심, 진불암까지 다녀올려고 했는데 일이 생겨서 현수교까지만 보고 복귀했네요. 수도사 앞 치산계곡입니다. 물줄기가 시원하게 흘러내립니다. 아쉽게도 이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어서 치산지 위부터는 계곡 출입금지입니다. 다행히 공산댐 밑 치산계곡야영장쪽은 물놀이,꾸버꾸버(취사)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공산폭포 보러 갑니다. '망폭정(望瀑亭)' '망폭대(望瀑臺) ' 망폭대(望瀑臺)란 '폭포를 바라보는 장소' 라는 뜻으로 팔공산 '치산십경'의 하나이다. 1698년 공산폭포를 찾았던 이담로의 '누가 이 경치에 빠져 이 대(臺)를 만들었나' 하는 시구와 하성징의 '태수는 누구라 이 대(臺)의 이름을 지었는가' 라는 시구로 보아, 당.. 2024. 7. 13.
(경산)관란서원( 觀瀾書院) 관란서원( 觀瀾書院) 관란 서원은 조선 중기 성리학의 방향과 성격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활을 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효종 10년(1659)에 지방 유림들이 세운 서운이다. 고종 5년(1868)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서원이 헐렸으나, 1901년에 지금의 자리에 다시 지어졌다. 관란서원에는 학문을 연구하는 곳인 강당과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안인사(安仁祠)가 있다. 현재 안인사에는 회재 이언적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매년 음력 9월 9일에 제사를 지낸다.  관란서원은 1659년(효종 10) 이승증의 유허지에 건립되었다. 경상북도 경주 출신의 이승증은 만년에 경주의 속현(屬縣)이었던 자인현(慈仁縣)에 삼회당(三會堂)과 어초와(漁樵窩)를 지었으며, 인근에 맹구대(盟鷗臺).. 2024. 7. 12.